한국어
Windows Programming
 

윈도우 프로그래밍에서의 데이터 형

pjk 2014.10.13 18:29 조회 수 : 5936





윈도우 프로그래밍에서의 데이터 형

 

TRUE : 1

FALSE : 0

 

BOOL : 논리형, TRUE 또는 FALSE 만 가질 수 있다.

BYTE : 8 bit unsigned 정수형

DWORD : 32 bit unsigned 정수형

LONG : 32 bit signed 정수형

LONGLONG : 64 bit signed

FLOAT : float

LPARAM : 32 bit 메시지 파라미터

LPSTR : 널 문자로 끝나는 윈도우 문자열의 포인터

LPCSTR : 널 문자로 끝나는 윈도우 문자열 상수의 포인터 (const LPSTR)

LPTSTR : 널 문자로 끝나는 유니코드 또는 윈도우 문자열의 포인터

LPCTSTR : 널 문자로 끝나는 유니코드 또는 윈도우 문자열 상수의 포인터

TCHAR : 유니코드 또는 윈도우 문자

UINT : 32 bit unsigned 정수형

WORD : 16 bit unsigned 정수형

WPARAM : 16 bit 메시지 파라미터

COLORREF : R, G, B 의 조합으로 표현되는 컬러를 표현하는 32비트 정수

POSITION : 리스트에 저장된 항목을 가리키는 포인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 MFC의 다각형 그리기 pjk 2014.05.24 16698
26 특정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배치 스크립트 운영자 2019.04.06 13805
25 세 점을 지나는 원 (3 Point Circle) file pjk 2014.06.05 12657
24 SetPixel() 을 사용하여 원을 그리기... pjk 2014.06.05 11246
23 ini 파일 이용하기 makersweb 2015.07.01 10446
22 두점을 지나고 반지름을 알고있을 때 원의 중심점을 찾기 file pjk 2014.06.09 9828
21 Visual Studio MFC에서 디버깅용 콘솔 창 띄우기 file pjk 2014.05.24 9092
20 체크박스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GetCheck() pjk 2014.05.24 8218
19 시리얼 통신 (COM Port open) pjk 2014.11.17 8067
18 원의 중심과 반지름을 이용한 원 그리기 pjk 2014.05.30 7787
17 GetUserDefaultUILanguage()함수를 이용하여 언어ID를 얻기 makersweb 2015.05.29 7507
16 FindFirstFile() pjk 2014.07.18 6470
15 WinCE 디버그메시지 사용법(DEBUGMSG, RETAILMSG, ERRORMSG, NKDbgPrintfW) pjk 2014.07.21 6461
14 DLL의 진입점 함수 file pjk 2015.01.14 6357
13 CreateFile함수로 시리얼 포트 COM10 이상 열기 pjk 2014.11.17 6248
12 MFC 대화상자 종료 메시지 호출 순서 pjk 2014.06.19 6180
» 윈도우 프로그래밍에서의 데이터 형 pjk 2014.10.13 5936
10 디렉토리(directory) 접근 C++ Win32 함수 총정리 pjk 2014.10.13 5859
9 키보드 입력을 처리하기 pjk 2014.05.24 5773
8 visual studio에서 유니코드 제어 문자 삽입 file makersweb 2015.05.29 5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