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Qt
 

Qt로 XML 파싱 : Qt 6에서 업데이트된 (Parsing XML with Qt: Updates for Qt 6)

 

 - Sona Kurazyan 2019년 12월 3일 화요일 게시

 - 원문 : https://www.qt.io/blog/parsing-xml-with-qt-updates-for-qt-6

 - 번역 : https://j2doll.tistory.com/655

 

Qt로 XML 문서를 파싱하는 것과 관련한 마지막 포스트 이후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저는 다음 릴리스에서 예상되는 변경 사항에 대한 갱신을 하고 싶습니다. 먼저, Qt가 현재 XML 문서를 읽고 쓰는 곳에 제공되는 방법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Qt XML 모듈

 

XML 파일 읽기 및 쓰기를 위한 모듈은 DOM (Document Object Model) 및 SAX (Simple API for XML) 의 두 가지 모델에 대한 구현을 제공합니다.

 

DOM 모델을 사용하면 전체 XML 파일이 메모리에 로드되고, 트리로 표시되므로, 노드에 쉽게 액세스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DOM은 일반적으로 메모리를 별로 신경 쓰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SAX는 이벤트 기반 XML 파서이며 전체 XML 문서를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습니다. 대신 구문 분석하는 동안 토큰에 대한 이벤트를 생성하며,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은 사용자의 책임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은 핸들러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합니다. (QXmlDefaultHandler를 사용하여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모델을 중심으로 코드를 구조화 해야하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낍니다.

 

또 다른 문제는 현재 SAX 구현(SAX를 사용하여 구현되므로 DOM)이 XML 표준을 완전히 준수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Qt 는 더 이상 SAX 사용을 권장하지 않으며, Qt 5.15부터 해당 클래스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QXmlStreamReader 및 QXmlStreamWriter

 

운 좋게도 Qt는 XML 파일 작업을 위한 보다 편리한 XML 표준 호환 대안으로 XML Streaming 클래스를 제공합니다. Qt를 사용한 XML 스트리밍에 대한 빠른 소개를 얻으려면 이 블로그(blog.qt.io) 게시물을 확인하십시오.

 

Qt 6의 변경 사항은 무엇입니까?

 

위에서 언급했듯이 SAX 클래스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므로, QDomDocument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QXmlStreamReader는 재-구현되었습니다.

 

Qt 6은 새로운 구현으로 전환하지만, 이전 Qt 버전은 여전히 ​​이전 구현 방식을 사용합니다. 새로운 구현은 약간의 동작 변경을 가져 오기 때문에, 우리는 Qt 6 이전에는 이점을 수행하고 싶지 않습니다.

 

 - 속성(attribute) 값이 정규화 됩니다. 예를 들어 <tag attr=" a \n b " /> 는 <tag attr="a b"/>

 - 동일하게 규정된 속성 이름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습니다. 즉, 요소(element)의 속성에는 고유한 이름이 있어야 합니다.

 - 선언되지 않은 네임 스페이스(namespace) 접두사(prefix)는 더 이상 허용되지 않습니다.

 

 QDomDocument 를 사용하고 이들 중 하나에 의존하는 경우 코드와 XML 문서를 적절히 업데이트 하십시오.

 현재 Qt의 XML 기능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견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보고 싶은 것이 없습니까? 의견을 알려주십시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Qt프로그래밍(QtQuick) Beginner를 위한 글 읽는 순서 운영자 2019.01.05 86421
139 Qml 기본 컴포넌트 강좌 (1) file makersweb 2019.01.03 12156
138 Qml 기본 컴포넌트 강좌 (2) [2] file makersweb 2019.01.05 8678
137 안드로이드 가상장치 사용 file makersweb 2019.01.13 1076
136 Qt응용프로그램 실행 시 콘솔창(터미널)같이 띄우기 file makersweb 2019.01.16 4518
135 QNetworkAccessManager를 통해 HTTP POST 하는 예제 makersweb 2019.01.17 4828
134 구글 클라우드 Speech-To-Text API를 Qt기반(C++, Qml)테스트 [7] file makersweb 2019.01.20 2631
133 Qt SQL을 이용한 가벼운 데이터베이스 다루기 [1] file 운영자 2019.01.23 7024
132 QString 문자열 다루기 예제 운영자 2019.01.26 40549
131 Qml 기본 컴포넌트 강좌 (3) - 배치(positioning) 컴포넌트 file 운영자 2019.02.10 4908
130 Qt Bluetooth를 이용한 시리얼(Serial) 통신 file makersweb 2019.02.17 3622
129 Qml 기본 컴포넌트 강좌 (4) - 모델 리스팅(Listing) file 운영자 2019.02.23 5339
128 Qt5기반 독립 프로세스(out-of-process)로 동작하는 가상키보드(virtual keyboard) file makersweb 2019.02.24 2636
127 qInstallMessageHandler를 이용한 디버그 메세지 출력 제어하기 makersweb 2019.02.25 1368
126 QTextCodec클래스를 사용하여 유니코드와 EUC-KR 변환 makersweb 2019.03.25 2921
125 GPU가 없는 장치에서 Qt Quick을 사용 makersweb 2019.04.02 1860
124 tslib의 ts_calibrate를 응용해서 Qt로 터치보정기능 구현 file makersweb 2019.04.06 1376
123 QML 전역 객체 (Global Object) file makersweb 2019.04.10 1066
122 QML과 QtQuick 모듈 개념과 기본 타입들 makersweb 2019.04.26 13460
121 Windows에서 Qt D-Bus를 사용하여 프로세스간 통신(IPC) file makersweb 2019.05.02 4537
120 가상키보드(Qt Virtual Keyboard)를 사용하는 방법 [32] file makersweb 2019.05.03 22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