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Qt
 

Loader를 사용하여 실행 성능 높이기

 

파싱 할 QML이 많으면 QML 애플리케이션이 느리게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전체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거대한 QML 파일로 구현 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최대한 빨리 시작하려면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 최소한의 QML을 로드하고 또 요청에 의해서만 UI 를 로드해야 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UI를 논리적 단위로 작게 분할하고, 시작 시에는 최소 QML 파일만, 불시에 필요에 따라 QML 파일을 로드한다. 

 

QML에는 QML 파일에 정의 된 시각적 QML 구성 요소 또는 QML 파일에 정의 된 아이템/구성 요소를 동적으로 로드 및 언로드 하는데 사용되는  Loader 요소가 있다.

 

아래 예제는 Loader아이템을 사용하여 동적으로 QML파일을 로드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import QtQuick 2.0

Item {
    width: 200; height: 200
    
    Loader { id: pageLoader }
    
    MouseArea {
        anchors.fill: parent
        onClicked: pageLoader.source = "Page1.qml"
    }
}

 

Page1.qml의 모든 새 콘텐츠를 Loader가 있는 현재 위치로 로드한다. 주목할 부분은 source 속성 유형이 URL이라는 것이다.

 

리소스 파일 (qrc://) 또는 로컬 파일 (file://)을 참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웹에 있는 파일 (http(s)://)을 로드하는 데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을 수 있다.

import QtQuick 2.0
import QtQuick.Window 2.0
import QtQuick.Controls 2.0

Window {
    width: 400
    height: 300
    visible: true

    property url qmlURL: "https://makersweb.net/helloMakersweb.qml"

    Loader {
        id: loader
        source: appUrl
        anchors.fill: parent
    }

    Button {
        text: "Reload"
        onClicked: {
            loader.source = ""
            loader.source = qmlURL
        }
    }
}

 

이러한 동적 생성을 통해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의 메모리 사용량과 시작 속도를 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신 화면(View) 사이를 탐색하는 데 어느 정도 ― QML 크기에 따라 ― 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어쩔 수 없이 화면(View)이 복잡하고 덩치 큰 QML을 로드해야하는 경우 스플래시 화면 또는 BusyIndicator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Loader {
    id: loader
    asynchronous: true
    anchors.fill: parent
    source: screens[currentIndex]
}

BusyIndicator {
    anchors.centerIn: parent
    running: loader.status == Loader.Loading
    visible: running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Qt프로그래밍(QtQuick) Beginner를 위한 글 읽는 순서 운영자 2019.01.05 118352
100 OpenGL 렌더링을 QtQuick과 통합하는 방법 file makersweb 2019.10.01 6197
99 앱을 종료할 때 QML 바인딩 오류를 피하는 방법 makersweb 2021.08.08 6198
98 안드로이드용 Qt 6.2 makersweb 2021.10.02 6244
97 Qt for MCU 1.0 릴리즈 makersweb 2019.12.10 6253
96 GPU가 없는 장치에서 Qt Quick을 사용 makersweb 2019.04.02 6263
95 소스코드에서 환경변수 가져오기와 설정하기 makersweb 2018.10.08 6267
94 라즈베리파이3에서 Boot to Qt 실행해보기 makersweb 2019.11.13 6294
93 QML에서 undefined를 확인하는 방법 makersweb 2017.11.29 6443
92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는 Qt프로젝트에서 고려해봐야 할 qmake 옵션 makersweb 2019.10.11 6448
91 싱글 샷(Single-Shot) 시그널/슬롯 연결 makersweb 2021.05.12 6471
90 [Qt News] Qt 6 기술 비전 (Technical vision for Qt 6) [2] j2doll 2019.08.08 6491
89 Qt 6.0의 개발 호스트 및 대상 플랫폼 makersweb 2020.09.16 6554
88 [Qt News] Qt6 Git 개발 초기 단계 시작하기 j2doll 2019.08.02 6555
87 QML에서 멀티 스레드(multithreading) 프로그래밍 file makersweb 2019.05.25 6575
86 Qml 어플리케이션 정적 빌드 file makersweb 2018.07.27 6618
85 Qt Creator 에서 GitHub Copilot 사용하기 file makersweb 2024.04.13 6620
84 [Qt News] Qt for Python을 위한 기술 비전 j2doll 2019.08.20 6658
83 ShaderEffect QML Type 을 이용한 그래픽효과 file makersweb 2018.12.09 6751
82 Qt로 데이터를 직렬화(serialization)하는 방법 makersweb 2020.08.04 6792
81 qbs 사용 방법(Helloworld) file makersweb 2019.10.23 6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