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Qt
 

Qt MQTT 를 사용해보기 위해 우분투 데스크탑에 빌드환경을 구축하고 예제를 실행해본다. Qt MQTT는 커머셜 라이센스 및 GPL 로 사용할 수 있으며 커머셜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다면 MaintenanceTool 을 통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오픈소스 라이센스하에서 사용할 것이므로 직접 소스코드를 빌드하여 빌드환경을 구축한다. 기본적으로 Qt가 설치되어 있어야하며 여기서는 이 과정 (Qt 설치)을 생략한다.
 

Qt MQTT 구축

다음은 git저장소를 클론하고 빌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 git clone https://code.qt.io/qt/qtmqtt.git
$ cd qtmqtt
$ git checkout 5.12.9
$ ~/Qt/5.12.5/gcc_64/bin/qmake
$ make
$ make install
 
이제 프로젝트 파일(.pro)에 다음 줄을 추가하면 mqtt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QT    += mqtt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관련 (클라이언트)헤더를 포함한다.
#include <QtMqtt/QMqttClient>
#include <QtMqtt/QMqttMessage>
#include <QtMqtt/QMqttSubscription>
 
클라이언트 객체 생성과 호스트 연결
QMqttClient *client = new QMqttClient();
client->setHostname("Host Name");
client->setPort(1883);
 
클라이언트 객체는 다음과 같은 유용한 시그널을 제공한다.
QMqttClient::stateChanged
QMqttClient::disconnected
QMqttClient::messageReceived
QMqttClient::pingResponseReceived
 
호스트에 연결
if(client->state() == QMqttClient::Disconnected)
    client->connectToHost();
 
토픽 구독
int qos = 0;
QMqttSubscription *subscription = client->subscribe(QMqttTopicFilter("topic"), qos);

 

 

구독이 성공하면 다음 시그널에 연결하여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QMqttSubscription::messageReceived
QMqttSubscription::stateChanged
QMqttSubscription::qosChanged
 
구독을 취소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subscription->unsubscribe();
 
토픽의 메세지를 게시하면 해당 토픽을 구독하는 클라이언트에게 메세지를 전달한다.
client->publish(QMqttTopicName("topic"), "message");

 

pub/sub 예제

이제 간단한 pus/sub예제를 실행 해본다.
브로커는 라즈베리파이4에 mosquitto 를 설치하여 구축한다. 다음의 명령줄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pi@raspberrypi:~ $ sudo apt install mosquitto
 
다음은 우분투 데스크탑에서 실행되는 간단한 클라이언트 예제를 보여준다.
#include <QCoreApplication>
#include <QtMqtt/QMqttClient>
#include <QtMqtt/QMqttMessage>
#include <QtMqtt/QMqttSubscription>

#include <QDebug>

void subscribe(QMqttClient *client){
    QString topic("sensors/house/temperature");

    int qos = 0;
    QMqttSubscription *subscription = client->subscribe(QMqttTopicFilter(topic), qos);

    QObject::connect(subscription, &QMqttSubscription::messageReceived, [subscription](const QMqttMessage &msg){
        qDebug() << "topic: " << msg.topic().name() << ", temperature: " << msg.payload().toInt() << "°C";
        subscription->unsubscribe();


        qApp->exit();
    });

    // publish message
    client->publish(topic, "15");
}


int main(int argc, char *argv[])
{
    QCoreApplication a(argc, argv);

    QMqttClient client;
    client.setHostname("10.10.10.102"); // Raspberry pi4 IP Address.
    client.setPort(1883);

    QObject::connect(&client, &QMqttClient::stateChanged, [&client](){
        if(client.state() == QMqttClient::Connected){
            qDebug() << "Client Connected.";
            subscribe(&client);
        }
    });

    if(client.state() == QMqttClient::Disconnected){
        // connect to broker
        client.connectToHost();
    }

    return a.exec();
}
실행결과:
qtmqtt.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Qt프로그래밍(QtQuick) Beginner를 위한 글 읽는 순서 운영자 2019.01.05 86506
159 Windows에서 라즈베리파이3용 Qt5.10.0 크로스컴파일 [20] file makersweb 2018.02.23 13132
158 Windows에서 라즈베리파이3 Qt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원격 실행 file makersweb 2018.02.23 6104
157 초보자를 위한 첫번째 프로젝트 - QML로 만드는 Hello World file makersweb 2018.03.16 14583
156 Qt Version확인 방법 makersweb 2018.03.29 3551
155 Qml 및 C++개발시 유용한 팁 [3] makersweb 2018.04.06 6054
154 Qt Bluetooth 관련 기능 확인 사항 makersweb 2018.07.10 776
153 Qml 어플리케이션 정적 빌드 file makersweb 2018.07.27 2145
152 Qml에서 키보드 입력 이벤트 핸들링 file makersweb 2018.08.09 3639
151 표를 만들고 PDF문서로 출력하기 file makersweb 2018.09.30 1616
150 소스코드에서 환경변수 가져오기와 설정하기 makersweb 2018.10.08 1822
149 Qt 응용프로그램 배포(windows) file makersweb 2018.10.10 11472
148 Qt Installer Framework - 패키징, 설치프로그램 제작 file makersweb 2018.10.14 11744
147 QML에서 동적으로 텍스트 다국어 처리 file makersweb 2018.11.04 4246
146 리눅스에서 Qt4.8기반 어플리케이션의 한글입력 file makersweb 2018.11.29 2462
145 안드로이드 Qt 프로그래밍 file makersweb 2018.11.30 8901
144 Qml에서 커튼효과 구현 예제 - Shader Effects file 운영자 2018.12.05 1126
143 ShaderEffect QML Type 을 이용한 그래픽효과 file makersweb 2018.12.09 2141
142 싱글터치 스크린 및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에서 Qt 터치입력 makersweb 2018.12.24 1414
141 Qml과 C++로 구현하는 GUI어플리케이션 file makersweb 2018.12.25 14087
140 QtWayland와 ivi-compositor file makersweb 2018.12.27 2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