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바이스트리는 시스템의 장치를 설명하는 노드가있는 트리 구조의 데이터다. 장치들에 관한 세부 사항을 운영체제에 하드코딩하지 않고 부팅시 운영체제로 전달되는 데이터로 설명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부트로더는 디바이스트리를 메모리에 로드하고 디바이스트리에 대한 포인터를 커널에 전달한다. 커널은 CPU, 메모리, 버스 및 주변 장치를 포함하여 이러한 구성 요소를 조금 더 유연하게 사용하고 관리 할 수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의 리눅스커널에서도 전면적으로 디바이스트리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데이터 기반 플랫폼 설정으로 인해 코드 중복이 줄어들고 단일 커널 이미지로 광범위한 하드웨어를 보다 쉽게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트리는 커널이 동적으로 감지 할 수 없는 시스템의 장치 정보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PCI 구조는 커널이 언제든 연결된 장치를 검사하고 감지 할 수 있으므로 PCI 장치를 설명하는 장치 트리 노드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프로빙으로 감지 할 수없는 경우 시스템에서 PCI 호스트 브리지 장치를 설명해야한다.
디바이스트리 노드에는 장치의 특성을 설명하는 property 가 있다. property 는 값이 비어 있거나 임의의 바이트 스트림을 포함 할 수있는 key-value 쌍이다. 그리고 각 노드에는 부모가없는 루트 노드를 제외하고 정확히 하나의 부모가 있다.
다음은 .dts 형식의 엔비디아 테그라 보드에 대한 디바이스트리의 일부이다.
/{
compatible = "nvidia,harmony", "nvidia,tegra20";
#address-cells = <1>;
#size-cells = <1>;
interrupt-parent = <&intc>;
chosen { };
aliases { };
memory {
device_type = "memory";
reg = <0x00000000 0x40000000>;
};
soc {
compatible = "nvidia,tegra20-soc", "simple-bus";
#address-cells = <1>;
#size-cells = <1>;
ranges;
intc: interrupt-controller@50041000 {
compatible = "nvidia,tegra20-gic";
interrupt-controller;
#interrupt-cells = <1>;
reg = <0x50041000 0x1000>, < 0x50040100 0x0100 >;
};
serial@70006300 {
compatible = "nvidia,tegra20-uart";
reg = <0x70006300 0x100>;
interrupts = <122>;
};
i2s1: i2s@70002800 {
compatible = "nvidia,tegra20-i2s";
reg = <0x70002800 0x100>;
interrupts = <77>;
codec = <&wm8903>;
};
i2c@7000c000 {
compatible = "nvidia,tegra20-i2c";
#address-cells = <1>;
#size-cells = <0>;
reg = <0x7000c000 0x100>;
interrupts = <70>;
wm8903: codec@1a {
compatible = "wlf,wm8903";
reg = <0x1a>;
interrupts = <347>;
};
};
}
sound {
compatible = "nvidia,harmony-sound";
i2s-controller = <&i2s1>;
i2s-codec = <&wm8903>;
};
};
노드의 이름은 정확한 장치모델이 아니라 장치의 기능을 반영하여 다소 일반적이어야한다.
|
• adc • accelerometer • atm • audio-codec • audio-controller • backlight • bluetooth • bus • cache-controller • camera • can • charger • clock • clock-controller • compact-flash • cpu • cpus • crypto • disk • display • dma-controller • dsi • dsp • eeprom • efuse • endpoint • ethernet • ethernet-phy • fdc • flash • gnss • gpio • gpu • gyrometer • hdmi • hwlock • i2c • i2c-mux • ide • interrupt-controller • iommu • isa • keyboard • key • keys • lcd-controller • led • leds • led-controller |
• light-sensor • magnetometer • mailbox • mdio • memory • memory-controller • mmc • mmc-slot • mouse • nand-controller • nvram • oscillator • parallel • pc-card • pci • pcie • phy • pinctrl • pmic • pmu • port • ports • power-monitor • pwm • regulator • reset-controller • rng • rtc • sata • scsi • serial • sound • spi • sram-controller • ssi-controller • syscon • temperature-sensor • timer • touchscreen • tpm • usb • usb-hub • usb-phy • video-codec • vme • watchdog • wifi |
이미 많이 알려진 디바이스트리는 arch/arm/boot/dts/ 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개의 확장자로 존재한다.
*.dtsi 파일은 여러 플랫폼에 공통적인 하드웨어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dts 파일에서 이러한 파일을 포함한다.
*.dts 파일은 디바이스트리 소스 파일로써 하나의 특정 플랫폼을 설명한다. 이 파일은 dtc(Device tree compiler)로 컴파일 하게된다.